https://github.com/meteor/meteor/blob/devel/tools/cli/help.txt 역시 Meteor는 짱짱입니다. yarn을 좀 써보니까 괜찮길레 Meteor 에선 어떻게 하나 봤더니 진짜 간단하군요. Meteor의 CLI는 자기 자신의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node를 설치를 했건 안했건 상관없이 meteor npm 이 가능하기 때문에 yarn, jsdoc 같은 걸 설치해서 쓸 수 있습니다. meteor npm install -g yarn 한 후 meteor yarn 으로 package.json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yarn은 기본으로 --save 옵션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로컬 패키지 관리시 실수를 줄일 수 있어 편리합니다.
Meteor evangelist, IoT, Renoise, Lua, Javascript, Coffe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