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css인 게시물 표시

UI깎는 노인-Making a knob for Mobile

Knob, 흔히들 Dial 이라고 말하는 전통적인 인터페이스가 있다. 돌리고~돌리~고~ ( 출처 ) webAudio를 하다보니 (  http://jsbin.com/hacota ,  http://output.jsbin.com/tidoqi  등등) 직관적인 UI 컨트롤러가 필요해서 잠깐 찾다가 이럴게 아니라 최소한의 요소만 뽑아내서 만들어보기로 함. 목표는 PC/Android/iOS 모두 잘 작동하도록 하는 것. 구현할 기능을 생각해보면 현재 값을 시각화하는 요소가 있을 것 - 위 사진에서처럼 음각으로 만든 홈. 경계값이 있을 것 - 12시 방향 기준으로 -140도~140도까지 클릭 후 드래그 시만 움직이고 즉각적으로 반응 정도로 잡고 일단 SVG로 원을 두개 그려본다.       <circle cx="6em" cy="6em" r="5em"/>       <circle class="handle" cx="6em" cy="3em" r="0.6em"/> 단위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잘 보이도록 em을 써서 만든다. 1em은 글자 한글자 높이정도의 단위인데 해상도에 대한 걱정을 덜어줘서 참 편하다. em은 이정도, 즉 1em=1글자 높이 이걸 돌려주기만 하면 된다. 돌리는 건 뭘로? css transform / rotate 를 사용한다. 두 개의 원을 그룹으로 묶어서 돌리자.     <g class="jog" style="-webkit-transform: rotate3d(0,0,1,{{knob}}deg); transform: rotate3d(0,0,1,{{knob}}deg)">       <circle cx="6em" cy="6em" r="5em...

node.js 를 위한 vim 환경 설정.

tmux를 쓰다보니 vim 환경 설정 셋을 문득 만들어 보고 싶었다. 1. 일단 vim 먼저 받고 sudo apt-get install vim 2. manage your runtimepath 관리용 pathgen 설치 mkdir -p ~/.vim/autoload ~/.vim/bundle; \ curl -Sso ~/.vim/autoload/pathogen.vim \     https://raw.github.com/tpope/vim-pathogen/master/autoload/pathogen.vim 3. ~/.vimrc 없을테니 아래와 같이 생성. tab/indent 간격은 2에 탭 대신 space로 쓰기 위해 expandtab 추가 execute pathogen#infect() syntax on filetype plugin indent on set tabstop=2 set shiftwidth=2 set softtabstop=2 set expandtab 4. 아무 js 나 vim 으로 열어서 color 적용여부 확인 5. sensible plugin 설치 git clone git://github.com/tpope/vim-sensible.git ~/.vim/bundle/vim-sensible 6. node bundle 설치 git clone https://github.com/moll/vim-node.git ~/.vim/bundle/node 7. coffeescript bundle 설치 git clone https://github.com/kchmck/vim-coffee-script.git ~/.vim/bundle/vim-coffee-script/ 8. zen code 보다 더 좋은 Emmet 설치 - ctrl+y+, 로 활성화 git clone http://github.com/mattn/emmet-vim.git ~/.vim/bundle/emmet-vim 9. less 도 활성화 ...

jsbin 팁 - list, ajax

콘솔창을 열고 > jsbin.home(' <key> ', ' <value> '); value는 아무래도 상관없다. 중복체크 후 Title 에 해당키가 생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그리고 jsbin.com/list를 들어가보면 key를 생성한 시점부터 만든 파일들을 이력과 함께 조회 가능함. AJAX 테스트를 위해 더미값을 넣어보고 싶을때가 있다. pastie 같은 텍스트 전용 서비스를 이용한느 것도 방법이겠지만 css, html을 다 지우고 js 쪽에 JSON을 넣고 해당 URL에 /js 를 붙이는 식으로 접근 가능하다. cross domain 문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지 않아도 된다. 예) http://jsbin.com/qweas/js http://jsbin.tumblr.com/ 그 외에도 유용한 팁이 가득. jsdo.it 과 더불어 참 좋은 html5 연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