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k은 live reload 가 가능해서 개발을 즐겁게 한다. 프로토타이핑할때 아주 좋다. RxJS 라이브러리를 받고 index.js 도 만들자. curl 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rxjs/5.0.0-beta.12/Rx.min.js > Rx.min.js touch index.js index.coffee package.json 을 만들어 놓으면 편하다. npm init 을 해서 엔터 연타하고 script 부분만 수정하자 { "name": "rxamok",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index.js", "scripts": { "start": "amok --browser chrome --interactive --hot Rx.min.js index.js" }, "author": "", "license": "ISC" } 이러면 준비 끝. amok 에서 coffeescript를 compile 하는 옵션이 deprecated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걱정할 것 없다. 저장할때마다 자동으로 coffeescript를 컴파일 할 수 있다. coffee -wco ./ *.coffee 해놓고 편하게 코딩하자. rate = 1000/60 c = document.createElement 'canvas' c.style.position = 'absolute' c.style.top = '0' c.style.left = '0' resize = -> c.width = w...
Meteor evangelist, IoT, Renoise, Lua, Javascript, Coffe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