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linux인 게시물 표시

Rasbperry Pi Zero W 에 Docker 설치함. (/w raspbian)

w3c 컨퍼 갔다왔더니 docker를 다시 잘 써보고 싶어졌다. 귀염둥이 Raspberry Pi Zero W를 꺼내서 ssh 접속하고 docker-ce를 설치해본다. $ echo "deb [arch=armhf] https://download.docker.com/linux/debian $(lsb_release -cs) stabl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docker.list deb [arch=armhf] https://download.docker.com/linux/debian jessie stable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docker-ce -y --force-yes Get:1 https://download.docker.com jessie InRelease [20.2 kB]                                  Hit http://mirrordirector.raspbian.org jessie InRelease                                        Ign https://download.docker.com jessie InRelease                          Hit https://download.docker.com jessie/stable armhf Packages Hit http://archive.raspberrypi.org jessie InRel...

Meteor build farm 사용하기

Npm 사용하는 package 만들다보니 해당 패키지안에 c/c++ 소스 코드가 있어서 바이너리를 OS별로 빌드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package를 meteor publish 로 올리고 나서 OS별로 meteor publish-for-arch packagename@version 해야한다. 가령 나는 linux를 쓰고 친구는 OS X를 쓴다. 그럼 서로 나는 잘되는데 너는 안되냐 이런 소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왜냐면 바이너리가 없으니까. OS X 컴에서 publish-for-arch 해서 올려야한다. 하지만 나는 바이너리를 빌드해줄 친구도 없고 맥도 없다면 (크흐흑 ㅜ_ㅜ) 걱정마시라 meteor admin get-machine을 사용하면 된다. https://github.com/meteor/meteor/wiki/Build-Machines 뭐 이렇게까지 친절할 필요가 있나 싶은 서비스인데; Meteor developer 계정으로 로그인 한 뒤 # OS X meteor admin get-machine os.osx.x86_64 # Linux on 64-bit Intel meteor admin get-machine os.linux.x86_64 # Linux on 32-bit Intel meteor admin get-machine os.linux.x86_32 셋중 하나 필요한 걸로 골라잡니다. 눈치챘을지 모르겠지만 윈도우는 지원안한다. 지금은 윈도우도 된다. meteor admin get-machine os.windows.x86_32 로 접근 가능하다. 그러면 ssh 한것처럼 shell 원격접속이 된다. 작동 방식은 1. 머신을 요청한다. 2. 5분간 머신을 할당받는다. 3. 서버는 요청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넘겨받고 4. 5분안에 다시 들어오면 같은 머신을 할당해 준다. 당연히 제한이 있는데 1. 한번에 15분 이상 유지 안됨 2. 주당 한시간 이상 못씀 그래도 이게 어디냐. ...

android(armv7)에 node.js 올리기. (Rockchip RK3188/MK809C)

http://masashi-k.blogspot.kr/2013/08/nodejs-on-android.html 이쪽 글을 참조했다. 환경은 일단 RK3188 계열인 MK809C로 시도해보았다. 먼저 루팅이 되어있고 Linux Installer나 Debian Tool kit등으로 리눅스를 설치했고 터미널 클라이언트나 SSH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현재 node.js의 안정(stable) 버전은 v0.10.23이므로 해당 소스를 다운받자. http://nodejs.org/download/ 에 들어가서 http://nodejs.org/dist/v0.10.23/node-v0.10.23.tar.gz 직접 소스를 받으면 된다. $ wget  http://nodejs.org/dist/v0.10.23/node-v0.10.23.tar.gz 으로 받자. $ tar xzf node-v0.10.23.tar.gz $ cd node-v0.10.23 해서 빌드 준비를 하자. $ ./configure --without-snapshot --dest-cpu=arm --dest-os=linux 로 먼저 빌드 환경을 잡고 바로 make 하기전에 thumb inter-working 관련 오류를 피하기 위해 macro-assembler-arm.cc 파일의 일부를 수정한다. 압축푼 경로를 기준으로 vi ./deps/v8/src/arm/macro-assembler-arm.cc 파일을 열어 60라인 근처를 수정하자. #if defined(USE_THUMB_INTERWORK) && !defined(CAN_USE_THUMB_INSTRUCTIONS) # error "For thumb inter-working we require an architecture which supports blx" #endif 아마 이런 부분이 있을 것이다. # error 부분 줄을 삭제하거나 // 처리 하자. (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