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RK3188인 게시물 표시

안드로이드 TV 스틱(armv7l)용 meteor branch를 만들었습니다.

https://github.com/acidsound/meteor/commit/d65a2a3530d89fd97c1b582b00ed28af9c5c608a 수정사항은 위와 같습니다. 필요한 의존성이 있으므로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openssl libssl-dev pkg-config git-core scons libpcre++-dev libboost-dev libboost-program-options-dev libboost-thread-dev libboost-filesystem-dev curl 먼저 받아놓습니다. 설치 방법은 git clone https://github.com/acidsound/meteor.git cd meteor git checkout devel_armv7l ./scripts/generate-dev-bundle.sh 이걸로 빌드한 후 ./meteor 로 확인해보면 됩니다. meteor 디렉토리를 path로 잡던가 meteor를 /usr/local/bin 에 넣던(확인 안해봄)하면 됩니다. meteorite(mrt) 설치는 그냥 npm install 을 사용해서 하면 별 이상 없이 잘 붙습니다. mongo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실행시엔 반드시 외부(ex.mongohq) mongo 서비스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MONGO_URL=mongodb://id:pw@alex.mongohq.com:10058/yourdb mrt 식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android(armv7)에 node.js 올리기. (Rockchip RK3188/MK809C)

http://masashi-k.blogspot.kr/2013/08/nodejs-on-android.html 이쪽 글을 참조했다. 환경은 일단 RK3188 계열인 MK809C로 시도해보았다. 먼저 루팅이 되어있고 Linux Installer나 Debian Tool kit등으로 리눅스를 설치했고 터미널 클라이언트나 SSH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현재 node.js의 안정(stable) 버전은 v0.10.23이므로 해당 소스를 다운받자. http://nodejs.org/download/ 에 들어가서 http://nodejs.org/dist/v0.10.23/node-v0.10.23.tar.gz 직접 소스를 받으면 된다. $ wget  http://nodejs.org/dist/v0.10.23/node-v0.10.23.tar.gz 으로 받자. $ tar xzf node-v0.10.23.tar.gz $ cd node-v0.10.23 해서 빌드 준비를 하자. $ ./configure --without-snapshot --dest-cpu=arm --dest-os=linux 로 먼저 빌드 환경을 잡고 바로 make 하기전에 thumb inter-working 관련 오류를 피하기 위해 macro-assembler-arm.cc 파일의 일부를 수정한다. 압축푼 경로를 기준으로 vi ./deps/v8/src/arm/macro-assembler-arm.cc 파일을 열어 60라인 근처를 수정하자. #if defined(USE_THUMB_INTERWORK) && !defined(CAN_USE_THUMB_INSTRUCTIONS) # error "For thumb inter-working we require an architecture which supports blx" #endif 아마 이런 부분이 있을 것이다. # error 부분 줄을 삭제하거나 // 처리 하자. (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