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osca를 사용한 MQTT 연습

IoT에서 핵심 개념 중 사물간 통신 부분이 있는데 양방향 경량 통신 프로토콜로 MQTT라는 것이 있고 그것이 nodemcu 에 구현이 되어있어 흥미를 가지고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Meteor의 DDP 프로토콜처럼 pub/sub 구조인데 한번씩만 pub/sub을 하는 Meteor와는 다르게 구독(subscribe)은 지정 토픽에 대해 한번만 하고 발행(publish)은 그때그때 하는 구조였다.

기술적인 내용은 MQTT 같은 곳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대충 읽고
실제적인 작동이 어떻게 되는지 직접 한번 경험해보고 싶었다.

물론 node.js와 javascript를 사랑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npm 에서 찾았지만 이후의 내용은 어짜피 command line에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해볼 수 있다.

먼저 MQTT Broker를 설치하자.


고양이 그림이 귀여운 Mosca 를 선택했다.
node.js 가 없으면 먼저 설치하고

npm install mosca bunyan -g

부터 시작해보자.
mosca 말고 bunyan이라는 것도 함께 설치하는데 JSON포멧의 로그를 볼때 편리하다.
덕분에 좋은 거 하나 배웠네.

여기서 Broker는 server랑은 조금 개념이 다른데 pub/sub을 하는 각각의 대상이 client/server의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서로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이므로.
어쨌든 Broker가 없으면 sub과 pub을 서로 맺을 수가 없으니 반드시 하나는 구동해야한다.
http://www.slideshare.net/BryanBoyd/mqtt-austin-api 자세한 내용은 이런 슬라이드를 보면 활용예나 패턴에 대해 잘 나와있으니 참조하자.

mosca -v | bunyan

일단 이런 식으로 mosca 를 기동한다. mosquitto 같은 걸 써도 크게 다르지 않다. 어짜피 한번만 구동하면 끝이니까.

$ mosca -v | buny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5-03-25T15:57:38.112Z]  INFO: mosca/27945 on yourPC.local: server started (mqtt=1883)


대략 이렇게 나올 것이다.
자세한 포트나 옵션은 mosca -h 로 확인하자.

pub/sub을 실행할 client도 설치해보자.
https://www.npmjs.com/package/mqtt 를 선택했다.

npm install mqtt --save

재밌는 점은 mqtt client와 mosca mqtt broker 모두 command line 과 module을 전부 지원한다.
우리가 해볼 것은 딱 하나밖에 없다.
특정 주제를 구독(subscribe)하고 그 주제에 발행하는 것만 해보면 된다.

먼저, 구독(subscribe)을 시켜보자.

mqtt subscribe "room"

이러면 tail 처럼 대기상태가 된다.
room이란 이름의 주제(topic)을 구독하고 있는 상태이다.

터미널을 하나 더 열고 여기에 발행(publish)을 해보자.

mqtt publish "room" "knock knock"

방(room)에 노크(knock knock)를 하면 subscribe 하고 있던 터미널에

$ mqtt subscribe room
knock knock

이렇게 응답이 온다.
창을 여러개 띄워서 여러개를 같은 방식으로 여러개를 subscribe 해보자.

구독한 곳들은 전부 publish 한 시점에 같은 메시지를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MQTT로 통신은 직접해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센서로부터 값을 받는 용도로는 이정도도 충분하고 좀 더 섬세하게 가다듬으면 채팅이나 SNS, 혹은 게임등등에도 쓸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느려터진 안드로이드 에뮬은 버리고 VM을 쓰자.

iOS개발 환경이 안드로이드보다 우월점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큰부분이라고 생각하는 점이 iOS Simulator 의 넘사벽 속도다. 사실 iOS 의 경우 Emulator 가 아니라 Simulator 라는 훼이크를 써서 그런건데.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같이 하는 회사만이 쓸 수 있는 필살기라 볼 수 있다. 반면 안드로이드의 경우 ARM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는데 이게 참 못만들었다. 플스에뮬이나 GBA에뮬 반정도만 만들어도 써줄텐데 아직 갈길이 멀다. 그래서 구시렁 거리면서 하드웨어를 연결해서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 역시 USB연결하는 건 불편하고 apk 를 전송하는 과정도 그다지 빠르지 않아서 개발 생산성이 월등히 나아지지는 않는다. 루팅을 하면 wifi 를 통해 apk 를 인스톨 할 수 있다고 해서 몇 가지를 해보았으나 잘 모르겠지만 인스톨까진 잘 되었는데 디버깅 모드로 실행이 되지 않아 그만두었다. 게다가 전송속도도 USB보다 wifi가 느리고 맘에 들지 않더라. 그러던중 stackoverflow.com(늘 신세지고 있습니다) 에서 "VM으로 안드로이드를 띄워서 adb connect 하면 좋아!" 라는 글에 눈이 번쩍. 시행착오를 몇번 했지만 의외로 간단하더라. 1. VMWare건 VirtualBox건 상관없다. VM호스트를 준비하자. 2. http://www.android-x86.org/download 로 가서  Deprecated x86 2.2 generic  을 받자. Q) 왜 Deprecated 인 2.2 generic 을 받나요. Deprecated는 쓰면 안되는 거 아님? A) http://mariuz.android-dev.ro/vm.iso.7z 도 있다고 한다. http://www.android-x86.org/download 에 있는 요즘 것들은 죄다 안된다. 3. 죄다 일단 Default 설정에 yes yes 하고 설치한다. 한글 문서가 필요한 분은 ...

MQTT 접속해제 - LWT(Last will and testament)

통신에서 중요하지만 구현이 까다로운 문제로 "상대방이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접속이 끊어졌을때"의 처리가 있다. 이것이 까다로운 이유는 상대방이 의도적으로 접속을 종료한 경우는 접속 종료 직전에 자신의 종료 여부를 알리고 나갈 수 있지만 프로그램 오류/네트웍 연결 강제 종료와 같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선 자신의 종료를 알릴 수 있는 방법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통적 방식으로는 자신의 생존 여부를 계속 ping을 통해 서버가 물어보고 timeout 시간안에 pong이 안올 경우 서버에서 접속 종료를 인식하는 번거로운 방식을 취하는데 MQTT의 경우 subscribe 시점에서 자신이 접속 종료가 되었을 때 특정 topic으로 지정한 메시지를 보내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LWT(Last will and testament) 라고 한다. 선언을 먼저하고 브로커가 처리하게 하는 방식인 것이다. Last Will And Testament 라는 말 자체도 흥미롭다. 법률용어인데  http://www.investopedia.com/terms/l/last-will-and-testament.asp 대략 내가 죽으면 뒷산 xx평은 작은 아들에게 물려주고 어쩌고 하는 상속 문서 같은 내용이다. 즉, 내가 죽었을(연결이 끊어졌을) 때에 변호사(MQTT Broker - ex. mosquitto/mosca/rabbitMQ등)로 하여금 나의 유언(메시지)를 상속자(해당 토픽에 가입한 subscriber)에게 전달한다라는 의미가 된다. MQTT Client 가 있다면 한번 실습해보자.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다른 글에서처럼  https://www.npmjs.com/package/mqtt  을 사용하도록 한다. npm install mqtt --save 로 설치해도 되고 내 경우는 자주 사용하는 편이어서 npm install -g mqtt 로 전역설치를 했다. 호스트는 무료 제공하고 있는 test.mosquitto.o...

cURL로 cookie를 다루는 법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2252226/passport-local-strategy-and-curl 레거시 소스를 보다보면 인증 관련해서 cookie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령 REST 서버인 경우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d '{"email": "aaa@bbb.com", "pw": "cccc"}' "http://localhost/login" 이렇게 로그인이 성공이 했더라도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GET -d '' "http://localhost/accounts/" 이런 식으로 했을 때 쿠키를 사용한다면 당연히 인증 오류가 날 것이다. curl의 --cookie-jar 와 --cookie 옵션을 사용해서 cookie를 저장하고 꺼내쓰자. 각각 옵션 뒤엔 저장하고 꺼내쓸 파일이름을 임의로 지정하면 된다. 위의 과정을 다시 수정해서 적용하면 curl -H --cookie-jar jarfil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d '{"email": "aaa@bbb.com", "pw": "cccc"}' "http://localhost/login" curl -H --cookie jarfil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GET -d '' "http://localhost/accounts/" 이렇게 사용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