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intelliJ IDEA 12에서 flash + starling framework 시작하기

내가 어쩌다 이 글을 쓰게 된건지는 모르겠지만 나를 위해 일단 기록을 남긴다.

요새 Flash에 관심이 가서 보던 중 intelliJ IDEA 12에서 Flash/Flex지원을 기본으로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바로 알아보기로 함.
Preference > Plugins를 보았다.

있다!

맨바닥에서 하는 건 싫으니까 조금 찾아봤더니 Starling이니 Feather니 하는 것들을 발견.
일단 둘다 clone 하고 보자 zip 파일로 받아놓는 것도 좋지만 업데이트 편하게
library 디렉토리 하나 만들고
git clone git://github.com/PrimaryFeather/Starling-Framework.git
git clone git://github.com/joshtynjala/feathers.git
Flex SDK도 받아놓자. 현재 4.6버전임
http://www.adobe.com/devnet/flex/flex-sdk-download.html
iOS Simulator 를 돌리려면 (OS X전용) Air SDK 3.3 이상이 있어야한다고 하니 이것도 받자.
http://www.adobe.com/devnet/air/air-sdk-download.html

준비는 다 되었다. 이 다음은 친절한 분이 잘 정리해놓으셨네.
http://wiki.starling-framework.org/manual/project_setup

이걸보고 하나씩 해본다.
Project Structure로 가서
Platform Settings > SDKs 를 찍고 +를 눌러서 Flex SDK를 선택
받아놓은 Flex SDK 경로를 설정하고
추가 후 Document 를 위해 Documentation Paths 탭을 선택 +지구본 모양 아이콘을 클릭.
http://help.adobe.com/en_US/FlashPlatform/reference/actionscript/3/를 추가하자.
자동으로 URL을 따주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하고 가물가물

그리고 Platform Settings > Global Libraries를 찍고
+ 눌러서 starling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자.
경로는 [CLONE 한 디렉토리]/starling/src를 선택.
*.swc 파일을 쓰거나 매번 프로젝트를 만들때 Project Settings > Libaries 에서 Raw ActionScript Library로 추가해도 되지만 귀찮으니까 Global로.

File > New Project를 선택해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자. 프로젝트 이름은 starlingEx 이라고 줬다.(아래 그림처럼 starling 이라고 하면 안된다! 이름이 겹치니까!!)
12버전에선 조금 편해졌나보다.
그냥 Flash Module 선택하고 시작하면 된다.
프로젝트명을 적고 Next
나는 모바일에 관심이 있어서 하는 거니까 Target platform은 Mobile로
그리고 Pure ActionScript 에 체크.

프로젝트 생성 후
다시 Project Structure / Platform Settings / Global Libaries 에 추가했던 starling 라이브러리를 선택 후 Add to Modules 에 현재 생성한 프로젝트의 모듈명을 선택한다.
여기까지 오케이.

이 상태로 해도 일단 빌드와 실행은 가능하지만 Starling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경우 오류를 renderMode 오류가 날 수 있으므로 기본 xml을 만들어준다.
Application descriptor 에서 Custom template을 선택 후 create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화면에서 AIR application descriptor 를 생성하자. 이것 때문에 한참 해멨다;

아마 기본으로 src/StarlingEx.as 파일이 생성되면서 내용은 아래와 같을 것이다.

package {
import flash.display.Sprite;
import flash.text.TextField;
public class Starling extends Sprite {
    public function Starling() {
        var textField:TextField = new TextField();
        textField.text = "Hello, World";
        addChild(textField);
    }
}
}
실행해보면 잘된다. 이제 기본 flash 패키지가 아니라 starling 을 이용하여 만들어본다.
우리 인도아저씨 http://gamua.com/starling/first-steps/ 튜토리얼 보고 해보자.


package {

import flash.display.Sprite;

import starling.core.Starling;

public class StarlingEx extends Sprite {
    private var mStarling:Starling;
    public function StarlingEx() {
        mStarling=new Starling(Game, stage);
        mStarling.start();
    }
}
}
메인인 StarlingEx.as를 만들고 Game 클래스도 만들자.

package {
import starling.display.Sprite;
import starling.text.TextField;

public class Game extends Sprite {
    public function Game() {
        var textField : TextField = new TextField(100,100,"Hi, Hello");
        addChild(textField);
    }
}
}
실행해본다.

만일 이렇게 오류가 난다면 wmode 가 제대로 지정되지 않았다는 소리다. 위에서 만든 xml을 파일을 열어보자.
*-app.xml 로 끝나는 형식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renderMode 가 주석으로 막혀있는 것을 gpu로 지정하자.
저장하고 다시 실행.

정상적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한 페이지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MQTT 접속해제 - LWT(Last will and testament)

통신에서 중요하지만 구현이 까다로운 문제로 "상대방이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접속이 끊어졌을때"의 처리가 있다. 이것이 까다로운 이유는 상대방이 의도적으로 접속을 종료한 경우는 접속 종료 직전에 자신의 종료 여부를 알리고 나갈 수 있지만 프로그램 오류/네트웍 연결 강제 종료와 같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선 자신의 종료를 알릴 수 있는 방법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통적 방식으로는 자신의 생존 여부를 계속 ping을 통해 서버가 물어보고 timeout 시간안에 pong이 안올 경우 서버에서 접속 종료를 인식하는 번거로운 방식을 취하는데 MQTT의 경우 subscribe 시점에서 자신이 접속 종료가 되었을 때 특정 topic으로 지정한 메시지를 보내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LWT(Last will and testament) 라고 한다. 선언을 먼저하고 브로커가 처리하게 하는 방식인 것이다. Last Will And Testament 라는 말 자체도 흥미롭다. 법률용어인데  http://www.investopedia.com/terms/l/last-will-and-testament.asp 대략 내가 죽으면 뒷산 xx평은 작은 아들에게 물려주고 어쩌고 하는 상속 문서 같은 내용이다. 즉, 내가 죽었을(연결이 끊어졌을) 때에 변호사(MQTT Broker - ex. mosquitto/mosca/rabbitMQ등)로 하여금 나의 유언(메시지)를 상속자(해당 토픽에 가입한 subscriber)에게 전달한다라는 의미가 된다. MQTT Client 가 있다면 한번 실습해보자.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다른 글에서처럼  https://www.npmjs.com/package/mqtt  을 사용하도록 한다. npm install mqtt --save 로 설치해도 되고 내 경우는 자주 사용하는 편이어서 npm install -g mqtt 로 전역설치를 했다. 호스트는 무료 제공하고 있는 test.mosquitto.o...

Renoise로 바닥부터 Sound Design (No Sample/No VST)

Renoise는 Ableton Live Standard 버전처럼 기본적으로 아무 악기가 없고 달랑 샘플러 하나가 전부인데 그마나 다행인건 멀티레이어라고나 할까. 샘플러만 있으면 사실 다 되지. 아날로그 웨이브 테이블을 최소단위로 넣어서 루프를 돌리면  되니까. 근데 그러면 무조건 폴리포니가 되어서 구조적으로 모노 신스는 구현이 불가능하다. 그것도 방법이 없는 건 아닌데 Bend 라든가 Glide 등등으로 하면 되니까. 그래도 모노 신스가 있었으면 좋겠는데 방법이 있더라. http://forum.renoise.com/index.php?/topic/27225-renoise-native-monophonic-synthesiser/  이 글을 보고 약간 충격을 받음. 이펙터만 있으면 역시 소리를 만들 수 있구나! 바로 시도에 들어감. 처음은 이런 상태. 나는 누군가. 여긴 어딘가. 키보드를 눌러도 아무 소리가 안난다. ESC 눌러서 첫번째 트랙 맨위에 Z(C-4 00) 하나 눌러 놓고 일단 플레이. 일단 이렇게 해놓고 소리가 날 수 있게 한단 말이지. 그럼 먼저 제네레이터. 일단 1byte짜리라도 뭐가 있어야 시작을 할 수 있으니 빈 샘플을 만들자. 1byte 짜리 빈 샘플을 만든다. 당연히 소리가 안난다. DC Offset을 만들어 00 인 상태를 바꿔보자. 퍽하고 클릭음이 생기면서 Master Scope 에 변화가 생겼다. Meter도 생겼다. 그런데 이건 소리라고 할 수 없다. RingMod(Ring Modulator)를 추가해보자. 오오 소리가 난다. 0인 경우엔 Ring Modulator를 적용해도 0으로 소용이 없지만 DC Offset으로 값을 변경한 후부터 Oscillator에 따라 파형이 생긴다. 기본적으로 440Hz의 음을 들을 수 있다. 무에서 유를 만들기는 했는데 Pitch도 Volume도 없다. 일단 Pitch부터 해보자. Key Tracker로 Dest...

cURL로 cookie를 다루는 법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2252226/passport-local-strategy-and-curl 레거시 소스를 보다보면 인증 관련해서 cookie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령 REST 서버인 경우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d '{"email": "aaa@bbb.com", "pw": "cccc"}' "http://localhost/login" 이렇게 로그인이 성공이 했더라도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GET -d '' "http://localhost/accounts/" 이런 식으로 했을 때 쿠키를 사용한다면 당연히 인증 오류가 날 것이다. curl의 --cookie-jar 와 --cookie 옵션을 사용해서 cookie를 저장하고 꺼내쓰자. 각각 옵션 뒤엔 저장하고 꺼내쓸 파일이름을 임의로 지정하면 된다. 위의 과정을 다시 수정해서 적용하면 curl -H --cookie-jar jarfil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d '{"email": "aaa@bbb.com", "pw": "cccc"}' "http://localhost/login" curl -H --cookie jarfil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GET -d '' "http://localhost/accounts/" 이렇게 사용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