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odern Web Application Tech Stack

모던 웹 어플리케이션 이라니 참 생경한 용어라고 생각했는데 이미 자리 잡았나보다.
http://lucumr.pocoo.org/2011/11/15/modern-web-applications-are-here/
http://jtaby.com/2012/04/23/modern-web-development-part-1.html
http://www.smashingmagazine.com/smashing-book-1/user-interface-design-in-modern-web-applications/
등등 많이들 쓰네.

무성의하게 이야기하면 페이스북이나 구글플러스처럼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지지고 볶고 하는 웹으로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인데. (미안 사실 그건 아니야)
모던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의는 따로 써야할만한 내용이라 일단은 패스.

어느정도는 적당히 맨땅에 헤딩도 해야하지만 간지나는 그분들의 도구들이 뭔지는 알아두자싶어
순서없이 생각날때마다 그때그때 기록해볼련다.

Trello
view-source:https://trello.com/ 해 보니
열심히 Uglify 해 놓았다.
그중 https://d2k1ftgv7pobq7.cloudfront.net/js/2583c1272b9a443e986489d1ed094af4/all.js 의 내용을 보니
http://jquery.com/
http://sizzlejs.com/
http://docs.jquery.com/UI
http://docs.jquery.com/UI/Widget
http://www.datejs.com/
backbone.js

highcharts.js
json2.js
markdown.js
socket.io.js
underscore.js


node.js
HAProxy
Redis
MongoDB

정도 사용한다.

. FourSquare
역시 자바스크립트들을  한방에 뭉쳐놓았다.
https://ss1.4sqi.net/scripts/build/ko/foursquare/root-b0da858aba9baaa4f80b6f60d63011f0.js 의 내용을 보았다.

Underscore.js 1.2.2
Backbone.js 0.5.3

정도 사용하고 있다.

. Linkedin
 i18n.translate 자체 i18n 지원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쓰는가본데 흥미로움
yui
sizzlejs (오호 여기도?)
dustjs https://github.com/dmix/dusterjs, Template 엔진.
backbone 과 함께 사용하는 예. http://dmix.ca/2011/12/dustjs-backbonejs-dusterjs/

. airBnb
<a href="javascript:void(0);"> 참 독특한 테크닉이네;
https://github.com/mathiasbynens/jquery-placeholder
https://github.com/imakewebthings/jquery-waypoints (무한스크롤 등등)
https://github.com/carhartl/jquery-cookie

아이구 은근히 피곤한 작업이네.

. Meteor - 이건 framework stack이라고 해야하나 암튼
fiber
connect
gzippo
optimist
mime
handlebars
useragent
underscore
* 8.25현재 추가
clean-css : css-minifier. test 소스 한번 보자

http-proxy : A full-featured http proxy for node.js. WebSockets, HTTPs 지원
nib : Stylus mixins, utilities, components, and gradient image generation.
optimist : 명령행 인자 파싱
request : http request client - oAuth 예제를 보니 쓰기 편해보인다.


기타 돌아다니면서 쓸만한 것들 (계속 업데이트)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MQTT 접속해제 - LWT(Last will and testament)

통신에서 중요하지만 구현이 까다로운 문제로 "상대방이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접속이 끊어졌을때"의 처리가 있다. 이것이 까다로운 이유는 상대방이 의도적으로 접속을 종료한 경우는 접속 종료 직전에 자신의 종료 여부를 알리고 나갈 수 있지만 프로그램 오류/네트웍 연결 강제 종료와 같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선 자신의 종료를 알릴 수 있는 방법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통적 방식으로는 자신의 생존 여부를 계속 ping을 통해 서버가 물어보고 timeout 시간안에 pong이 안올 경우 서버에서 접속 종료를 인식하는 번거로운 방식을 취하는데 MQTT의 경우 subscribe 시점에서 자신이 접속 종료가 되었을 때 특정 topic으로 지정한 메시지를 보내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LWT(Last will and testament) 라고 한다. 선언을 먼저하고 브로커가 처리하게 하는 방식인 것이다. Last Will And Testament 라는 말 자체도 흥미롭다. 법률용어인데  http://www.investopedia.com/terms/l/last-will-and-testament.asp 대략 내가 죽으면 뒷산 xx평은 작은 아들에게 물려주고 어쩌고 하는 상속 문서 같은 내용이다. 즉, 내가 죽었을(연결이 끊어졌을) 때에 변호사(MQTT Broker - ex. mosquitto/mosca/rabbitMQ등)로 하여금 나의 유언(메시지)를 상속자(해당 토픽에 가입한 subscriber)에게 전달한다라는 의미가 된다. MQTT Client 가 있다면 한번 실습해보자.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다른 글에서처럼  https://www.npmjs.com/package/mqtt  을 사용하도록 한다. npm install mqtt --save 로 설치해도 되고 내 경우는 자주 사용하는 편이어서 npm install -g mqtt 로 전역설치를 했다. 호스트는 무료 제공하고 있는 test.mosquitto.o...

Renoise로 바닥부터 Sound Design (No Sample/No VST)

Renoise는 Ableton Live Standard 버전처럼 기본적으로 아무 악기가 없고 달랑 샘플러 하나가 전부인데 그마나 다행인건 멀티레이어라고나 할까. 샘플러만 있으면 사실 다 되지. 아날로그 웨이브 테이블을 최소단위로 넣어서 루프를 돌리면  되니까. 근데 그러면 무조건 폴리포니가 되어서 구조적으로 모노 신스는 구현이 불가능하다. 그것도 방법이 없는 건 아닌데 Bend 라든가 Glide 등등으로 하면 되니까. 그래도 모노 신스가 있었으면 좋겠는데 방법이 있더라. http://forum.renoise.com/index.php?/topic/27225-renoise-native-monophonic-synthesiser/  이 글을 보고 약간 충격을 받음. 이펙터만 있으면 역시 소리를 만들 수 있구나! 바로 시도에 들어감. 처음은 이런 상태. 나는 누군가. 여긴 어딘가. 키보드를 눌러도 아무 소리가 안난다. ESC 눌러서 첫번째 트랙 맨위에 Z(C-4 00) 하나 눌러 놓고 일단 플레이. 일단 이렇게 해놓고 소리가 날 수 있게 한단 말이지. 그럼 먼저 제네레이터. 일단 1byte짜리라도 뭐가 있어야 시작을 할 수 있으니 빈 샘플을 만들자. 1byte 짜리 빈 샘플을 만든다. 당연히 소리가 안난다. DC Offset을 만들어 00 인 상태를 바꿔보자. 퍽하고 클릭음이 생기면서 Master Scope 에 변화가 생겼다. Meter도 생겼다. 그런데 이건 소리라고 할 수 없다. RingMod(Ring Modulator)를 추가해보자. 오오 소리가 난다. 0인 경우엔 Ring Modulator를 적용해도 0으로 소용이 없지만 DC Offset으로 값을 변경한 후부터 Oscillator에 따라 파형이 생긴다. 기본적으로 440Hz의 음을 들을 수 있다. 무에서 유를 만들기는 했는데 Pitch도 Volume도 없다. 일단 Pitch부터 해보자. Key Tracker로 Dest...

cURL로 cookie를 다루는 법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2252226/passport-local-strategy-and-curl 레거시 소스를 보다보면 인증 관련해서 cookie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령 REST 서버인 경우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d '{"email": "aaa@bbb.com", "pw": "cccc"}' "http://localhost/login" 이렇게 로그인이 성공이 했더라도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GET -d '' "http://localhost/accounts/" 이런 식으로 했을 때 쿠키를 사용한다면 당연히 인증 오류가 날 것이다. curl의 --cookie-jar 와 --cookie 옵션을 사용해서 cookie를 저장하고 꺼내쓰자. 각각 옵션 뒤엔 저장하고 꺼내쓸 파일이름을 임의로 지정하면 된다. 위의 과정을 다시 수정해서 적용하면 curl -H --cookie-jar jarfil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d '{"email": "aaa@bbb.com", "pw": "cccc"}' "http://localhost/login" curl -H --cookie jarfil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GET -d '' "http://localhost/accounts/" 이렇게 사용하면 ...